이해하기 쉽고, 장황하지 않은 자료를 기반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.
잔재미코딩 소식 공유
좀더 제약없이, IT 컨텐츠를 공유하고자, 자체 온라인 사이트와, 다음 두 채널도 오픈하였습니다
응원해주시면, 곧 좋은 컨텐츠를 만들어서 공유하겠습니다
●  잔재미코딩 뉴스레터 오픈 [구독해보기]
●  잔재미코딩 유투브 오픈 [구독해보기]

3. Recursive Call (재귀 호출)

  • 함수 안에서 동일한 함수를 호출하는 형태
  • 여러 알고리즘 작성시 사용되므로, 익숙해져야 함

3.1 팩토리얼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Recursive Call 을 활용해서 알고리즘 작성하기

3.1.1. 간단한 경우부터 생각해보기

  • 2! = 1 X 2
  • 3! = 1 X 2 X 3
  • 4! = 1 X 2 X 3 X 4

3.1.2. 규칙이 보임: n! = n X (n - 1)!

  1. 함수를 하나 만든다.
  2. 함수(n) 은 n > 1 이면 return n X 함수(n - 1)
  3. 함수(n) 은 n = 1 이면 return n

3.1.3. 검증 (코드로 검증하지 않고, 직접 간단한 경우부터 대입해서 검증해야 함)

  1. 먼저 2! 부터
    • 함수(2) 이면, 2 > 1 이므로 2 X 함수(1)
    • 함수(1) 은 1 이므로, return 2 X 1 = 2 맞다!
  2. 먼저 3! 부터
    • 함수(3) 이면, 3 > 1 이므로 3 X 함수(2)
    • 함수(2) 는 결국 1번에 의해 2! 이므로, return 2 X 1 = 2
    • 3 X 함수(2) = 3 X 2 = 3 X 2 X 1 = 6 맞다!
  3. 먼저 4! 부터
    • 함수(4) 이면, 4 > 1 이므로 4 X 함수(3)
    • 함수(3) 은 결국 2번에 의해 3 X 2 X 1 = 6
    • 4 X 함수(3) = 4 X 6 = 24 맞다!

3.1.4. 코드 레벨로 적어보기

In [67]:
# 3.1.2 항목에서 적어놓은 문장을 코드로 옮긴다. 필기에서는 좀더 코드레벨로 연습장에 적은 후에 작성
def factorial(num):
    if num > 1:
        return num * factorial(num - 1)
    else:
        return num
In [68]:
# 코드로 검증 
for num in range(10):
    print (factorial(num))
0
1
2
6
24
120
720
5040
40320
362880

2.1.5.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구하기

  • factorial(n) 은 n - 1 번의 factorial() 함수를 호출해서, 곱셈을 함 (일종의 n-1번 반복문을 호출한 것과 동일)
  • O(n-1) 이므로 결국, O(n) (최상위 차수만 기재)

3.1. 예: 팩토리얼 구하기 (다시 코드보며 재귀 호출 예 이해하기)

In [ ]:
# factorial 함수 안에서 factorial 함수를 호출
def factorial(num):
    if num > 1:
        return num * factorial(num - 1)
    else:
        return num

재귀 호출의 일반적인 형태

In [ ]:
# 일반적인 형태1
def function(입력):
    if 입력 > 일정값: # 입력이 일정 값 이상이면
        return function(입력 - 1) # 입력보다 작은 값
    else:
        return 일정값 # 재귀 호출 종료
In [ ]:
# 일반적인 형태2
def function(입력):
    if 입력 <= 일정값:              # 입력이 일정 값보다 작으면
        return 결과값              # 재귀 호출 종료
    function(입력보다 작은 )
    return 결과값
In [71]:
# 일반적인 형태2 로 작성한 팩토리얼
def factorial(num):
    if num <= 1:
        return num
    return_value = num * factorial(num - 1)       # return num * factorial(num - 1) 로 작성하는 것도 좋음
    return return_value
In [72]:
# 코드로 검증 
for num in range(10):
    print (factorial(num))
0
1
2
6
24
120
720
5040
40320
362880

재귀 호출은 스택의 전형적인 예

  • 함수는 내부적오르 스택처럼 관리된다.

파이썬에서 재귀 함수는 깊이가(한번에 호출되는...) 1000회 이하가 되어야 함

프로그래밍 연습
다음 함수를 재귀 함수를 활용해서 완성해서 1부터 num까지의 곱이 출력되게 만드세요

def muliple(data):
    if data <= 1:
        return data

    return -------------------------

multiple(10)
In [82]:
def multiple(data):
    return_value = 1
    for index in range(1, data+1):
        return_value = return_value * index
    return return_value
In [81]:
def multiple(data):
    if data <= 1:
        return data

    return data * multiple(data - 1)

for num in range(10):
    print (multiple(num))
0
1
2
6
24
120
720
5040
40320
362880

프로그래밍 연습
숫자가 들어 있는 리스트가 주어졌을 때, 리스트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를 만드세요

참고: 임의 값으로 리스트 만들기 random.sample(0 ~ 99까지 중에서, 임의로 10개를 만들어서 10개 값을 가지는 리스트 변수 만들기
import random 
data = random.sample(range(100), 10)
In [83]:
import random 
data = random.sample(range(100), 10)
data
Out[83]:
[50, 76, 39, 55, 6, 20, 37, 17, 5, 23]

프로그래밍 연습
숫자가 들어 있는 리스트가 주어졌을 때, 리스트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를 만드세요 (재귀함수를 써보세요)

def sum_list(data):
    if len(data) == 1:
        return data[0]

    return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import random 
data = random.sample(range(100), 10)
print (sum_list(data))
In [89]:
def sum_list(data):
    return_value = 0
    for item in data:
        return_value = return_value + item
    return return_value

data_list = random.sample(range(100), 10)
sum_list(data_list)
Out[89]:
382
In [92]:
data_list
Out[92]:
[44, 71, 3, 67, 36, 64, 22, 45, 5, 25]
In [94]:
data_list[-1]
Out[94]:
25
In [91]:
def sum_list(data):
    # print(data)
    if len(data) == 1:
        return data[0]

    return data[0] + sum_list(data[1:])

sum_list(data_list)
[44, 71, 3, 67, 36, 64, 22, 45, 5, 25]
[71, 3, 67, 36, 64, 22, 45, 5, 25]
[3, 67, 36, 64, 22, 45, 5, 25]
[67, 36, 64, 22, 45, 5, 25]
[36, 64, 22, 45, 5, 25]
[64, 22, 45, 5, 25]
[22, 45, 5, 25]
[45, 5, 25]
[5, 25]
[25]
Out[91]:
382

프로그래밍 연습
회문(palindrome)은 순서를 거꾸로 읽어도 제대로 읽은 것과 같은 단어와 문장을 의미함
회문을 판별할 수 있는 함수를 리스트 슬라이싱을 활용해서 만드세요

참고 - 리스트 슬라이싱
string = 'Dave' 
string[-1] --> e
string[0] --> D
string[1:-1] --> av
string[:-1] --> Dav
프로그래밍 연습
회문(palindrome)은 순서를 거꾸로 읽어도 제대로 읽은 것과 같은 단어와 문장을 의미함
회문을 판별할 수 있는 함수를 재귀함수를 활용해서 만들어봅니다.
In [6]:
def recursive(string):
    if len(string) == 1:
        return True
    
    if string[0] == string[-1]:
        return recursive(string[1:-1])
    else:
        return False

print (recursive('rumur'))
True
In [100]:
def recursive(string):

    if len(string) <= 1:
        return True

    if string[0] == string[-1]:
        return recursive(string[1:-1])
    else:
        return False

print (recursive('abcdfdcba'))
True

협업 과제1(남에게 설명하면, 자신이 배운답니다.!)
다음 엑셀 파일에서 이름을 스페이스로 분리해서, 각 단어가 나온 횟수를 구해보세요
어떤 이름이나 성을 가진 사람이 많을지를 알기 위해, 새로운 쉬트에 단어가 나온 횟수가 높은 순으로 이름과 횟수를 정렬해서 넣어보세요
힌트: 문제를 잘라봅니다.

  1. 각 이름을 스페이스로 짜르자
  2. 각 이름을 사전에 key로 넣자
  3. 이 때 사전에 이미 해당 key 가 있는지 확인하고, 해당 키가 있으면 value에 1을 더하고,
  4. 해당 키가 없으면, value를 1로 해서 사전키를 만들면 될 것 같다.

이제 1번부터 하나씩 어떻게 할지 코드를 작성해보고, 1~4를 하나씩 해결해가자
</div>

참고: 문자열 짜르기
string = 'Dave Mr. Korea'
word_list = string.split(' ')
print (word_list)
In [143]:
import openpyxl
 
# 엑셀파일 열기
work_book = openpyxl.load_workbook('data/train.xlsx')
 
# 현재 Active Sheet 얻기
work_sheet = work_book.active

# Age Sorting 이라는 쉬트를 작성하는 예제
work_sheet_new = work_book.create_sheet('word sorting')

word_dict = dict()

for each_row in work_sheet.rows:
    string = each_row[3].value
    word_list = string.split()
    for word in word_list:
        if word in word_dict:
            word_dict[word] += 1
        else:
            word_dict[word] = 1

sorted_word_list = sorted(word_dict, key=lambda k : word_dict[k], reverse=True)

for index, word in enumerate(sorted_word_list):
    work_sheet_new.cell(row=index + 1, column=1).value = word
    work_sheet_new.cell(row=index + 1, column=2).value = word_dict[word]
    
# 엑셀 파일 저장
work_book.save("score8.xlsx")
work_book.close()

협업 과제2(남에게 설명하면, 자신이 배운답니다.!)
1, 정수 n에 대해

  1. n이 홀수이면 3 X n + 1 을 하고,
  2. n이 짝수이면 n 을 2로 나눕니다.
  3. 이렇게 계속 진행해서 n 이 결국 1이 될 때까지 2와 3의 과정을 반복합니다.

예를 들어 n에 3을 넣으면,

3
10
5
16
8
4
2
1
이 됩니다.

이렇게 정수 n을 입력받아, 위 알고리즘에 의해 1이 되는 과정을 모두 출력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.

In [37]:
def func(data):
    print (data)
    if data == 1:
        return

    if data % 2 == 0:
        return func(int(data / 2))
    else:
        return func(3 * data + 1)

3.2. 최대 공약수 구하기

  • 두 정수를 입력받아서, 두 정수의 최대 공약수를 출력해주는 알고리즘 작성하기
    • 두 정수는 0 보다 크고, 100 이하인 수

3.2.1 입력과 출력, 조건 확인이 우선!

  • 입력: 두 정수 num1, num2
    • 0 < num1 <= 100, 0 < num2 <= 100
  • 출력: 두 정수(num1, num2)의 최대 공약수

3.2.2 문제 이해

  • 최대공약수: 두 수의 공통된 약수 중에서, 가장 큰 값
    • 약수: 어떤 정수를 나머지 없이 나눌 수 있는 정수

3.2.3 최대한 간단한 예로 규칙 생각해보기

  • 2와 4의 최대공약수: 2 (2%2, 4%2 는 0)
  • 3과 6의 최대공약수: 3 (3%3, 6%3 은 0)
  • 4와 6의 최대공약수
    • 4%4 = 0, 6%4 = 2
    • 4%3 = 3
    • 4%2 = 0, 6%2 = 0

3.2.4 알고리즘

  • 두 입력된 정수 중, 적은 수로 두 정수의 나머지를 구한다.
  • 둘 다 나머지가 0이면 해당 값 리턴
  • 그렇지 않으면, 적은 수 - 1 로 다시 두 정수의 나머지를 구한다.

3.2.5 고안한 규칙으로 다시 검증 (절대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, 바로 테스트해보지 않습니다.)

  • 2와 4의 최대공약수: 2 (2%2, 4%2 는 0)
  • 3과 6의 최대공약수: 3 (3%3, 6%3 은 0)
  • 4와 6의 최대공약수
    • 4%4 = 0, 6%4 = 2
    • 4%3 = 3
    • 4%2 = 0, 6%2 = 0

3.2.6 코드 작성하기 (빈칸 채우기 프로그래밍 연습!)

In [45]:
def gcd(num1, num2):
    if num1 > num2:
        divisor = num2
    else:
        divisor = num1
    
    for index in range(----------------):
        if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:
            return divisor        
In [105]:
def gcd(num1, num2):
    if num1 > num2:
        divisor = num2
    else:
        divisor = num1
    
    for index in range(divisor, 0, -1):
        if num1 % divisor == 0 and num2 % divisor == 0:
            return divisor
    return 1
In [118]:
def gcd(num1, num2):
    if num1 > num2:
        divisor = num2
    else:
        divisor = num1
    
    for index in range(divisor, 0, -1):
        if (num1 % index == 0) and (num2 % index == 0):
            return index
    return 1
In [119]:
gcd(100, 15)
Out[119]:
5

3.2.7 코드 refinement (코드를 견고하게 만들기)

In [34]:
# 코드 refinement
def gcd(num1, num2):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if type(num1) is not int:                      # 조건1: num1과 num2이 정수인지!
        return 0
    if type(num2) is not int:
        return 0
    
    if num1 < 1 or num1 > 100:                     # 조건2: 0 < num1 <= 100, 0 < num2 <= 100
        return 0
    if num2 < 1 or num2 > 100:
        return 0
    
    if num1 > num2: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divisor = num2
    else:
        divisor = num1
    
    for sub_divisor in range(divisor, 1, -1):      # 10 ~ 1까지 테스트하면, 1일 때 불필요하게 나머지를 구하게 됨, 10 ~ 2까지로!
        if num1 % sub_divisor == 0 and num2 % sub_divisor == 0:         
            return sub_divisor

    return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In [41]:
# 테스트 입력 넣어보기
# result = gcd(20.0, 15)
# result = gcd(101, 15)

result = gcd(20, 15)
if result == 0:
    print ("입력에 문제가 있습니다.")
else:
    print ("최대 공약수는 " + str(result) + " 입니다.")
입력에 문제가 있습니다.

3.2.8 다른 알고리즘 (유클리드(Euclid) 알고리즘)

a와 b의 최대 공약수는 b와 a % b (a를 b로 나눈 나머지, b가 a보다 적은 수)의 최대 공약수와 같음

규칙 검증

  • 30, 20의 최대 공약수는 20과 30 % 20, 즉 20과 10의 최대공약수와 같음
    • 20, 10의 최대 공약수는 10과 20 % 10, 즉 0이므로, 10이 최대 공약수
  • 48, 12의 최대 공약수는 12와 48 % 12, 즉 0이므로, 12가 최대 공약수
  • 48, 18의 최대 공약수는 18와 48 % 18, 즉 12이므로, 다시 18과 18 % 12, 즉 6이므로, 다시 12와 12 % 6, 즉 0이므로 6이 최대 공약수

알고리즘 (재귀 함수 활용)

  • 두 수, a, b를 입력받고, a와 b 중 적은 수를 알아냄
  • 둘 중의 하나가 0 이면, 나머지 하나를 리턴값으로 리턴
  • 그렇지 않으면, b 와 a % b 로 다시 계산 (재귀 함수)

프로그래밍 연습: 빈칸 채우기

In [65]:
def gcd2(a, b):
    while b > 1:
        if -----------------------:
            break
        else:
            -----------------------
            a = b
            b = temp

    return b
In [67]:
gcd2(48, 12)
Out[67]:
12
프로그래밍 연습
위 문제를 재귀함수를 써서 풀어보기
In [120]:
def gcd2(a, b):
    if a == 0:
        return b
    elif b == 0:
        return a
    
    return gcd2(b, a % b)
In [70]:
def gcd2(a, b):
    if a == 0:
        ------------
    elif b == 0:
        ------------
    
    return --------------------
In [123]:
gcd2(5, 15)
Out[123]:
5
In [122]:
gcd2(15, 5)
Out[122]:
5

빅 오 표기법으로 정확히 명시되기는 어렵지만, 3.2.7 알고리즘이 3.2.5 알고리즘보다 계산 횟수가 적음

프로그래밍 연습
피보나치 수열: n 을 입력받아서 다음과 같이 계산됨
n 을 입력받았을 때 피보나치 수열로 결과값을 출력하세요

함수를 fibo 라고 하면,
fibo(0):0
fibo(1):1
fibo(2):1
fibo(3):2
fibo(4):3
fibo(5):5
fibo(6):8
fibo(7):13
fibo(8):21
fibo(9):34
In [86]:
def fibo(num):
    if num == 0 or num == 1:
        return num

    return fibo(num - 1) + fibo(num - 2)
In [124]:
def fibo(num):
    if num == 0:
        return 0
    elif num == 1:
        return 1
    
    return fibo(num - 1) + fibo(num - 2)
In [125]:
for num in range(10):
    print ('fibo(' + str(num) + '):' + str(fibo(num)))
fibo(0):0
fibo(1):1
fibo(2):1
fibo(3):2
fibo(4):3
fibo(5):5
fibo(6):8
fibo(7):13
fibo(8):21
fibo(9):34

3.3. 하노이탑 문제 (초심화)

  • 세 개의 기둥과 이 기둥에 꽂을 수 있는 크기가 다양한 원판이 있음
  • 퍼즐을 시작하기 전에는 한 기둥에 원판들이 작은 것이 위에 있도록 순서대로 쌓여 있음
  • 다음 조건을 따라서, n개의 원판을 다른 기둥으로 최소 몇 번 옮겨야 하는지, 횟수를 출력하는 문제
    1. 한 번에 하나의 원판만 옮길 수 있음
    2. 큰 원판이 작은 원판 위에 있어서는 안 됨
  • 출처: 위키 백과 (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5%98%EB%85%B8%EC%9D%B4%EC%9D%98_%ED%83%91)

3.3.1. 작은 경우부터 생각해보기 (1개일 때는 한번에 이동 가능, 2개일 때는 3번에 이동 가능)

  • 다음은 3개 일 때: 7번으로 이동 가능
  • 다음 코드 실행해서 하노이탑 생각해보기 (다음 코드 실행이 안되면, 링크로 직접 접속 http://www.novelgames.com/ko/tower/ )
In [126]:
%%html
<script async src="//license.novelgames.com/games/game.js"></script>
<ins class="novelgames_cloudgame"
	data-game-short-name="tower"
	data-language="ko"
></ins>

3.3.2. 원반이 n 개일 때 첫번째 기둥에서 세번째 기둥으로 옮기는 방법 (일반화)

  1. 원반 n - 1 개를 두번째 기둥으로 옮긴 후
  2. 첫번째 기둥의 가장 큰 원반을 세번째 기둥으로 옮기고,
  3. 두번째 기둥의 n - 1 개 원반을 세번째 기둥으로 옮기면 됨

3.3.3. 규칙

  1. 원반이 한 개이면 첫 번째 기둥에서 세 번째 기둥으로 바로 옮김
  2. 원반이 n 개이면
    • 첫 번째 기둥에 있는 n - 1개를 세 번째 기둥을 활용해서 두 번째 기둥으로 옮김
    • 첫 번째 기둥에 있는 가장 큰 원반을 세 번째 기둥으로 옮김
    • 두 번째 기둥에 있는 n - 1개를 첫 번째 기둥을 활용해서 세 번째 기둥으로 옮김

3.3.4. 그대로 코드로 옮겨보자 (재귀 호출 활용)

In [96]:
# first point: 현재 있는 기둥 (첫번째 기둥)
# second point: 활용하는 기둥 (두번째 기둥)
# third point: 옮기려는 기둥 (세번째 기둥)
# hanoi(n, 현재 있는 기둥, 활용하는 기둥, 옮기려는 기둥)
# hanoi(n) 원반 n개에 대해 첫 번째 기둥에 있는 원반을 두 번째 기둥을 활용해서, 세 번째 기둥으로 옮기는 방법을 출력하는 함수

def hanoi(n, first='첫번째기둥', second='두번째기둥', third='세번째기둥'):
    if n == 1:
        print(str(n), first, "->", third)
        return
    
    hanoi(n-1, first, third, second)
    print(str(n), first, "->", third)
    hanoi(n-1, second, first, third)
In [97]:
hanoi(1)
1 첫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In [98]:
hanoi(2)
1 첫번째기둥 -> 두번째기둥
2 첫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1 두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In [99]:
hanoi(3)
1 첫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2 첫번째기둥 -> 두번째기둥
1 세번째기둥 -> 두번째기둥
3 첫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1 두번째기둥 -> 첫번째기둥
2 두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1 첫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In [100]:
hanoi(4)
1 첫번째기둥 -> 두번째기둥
2 첫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1 두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3 첫번째기둥 -> 두번째기둥
1 세번째기둥 -> 첫번째기둥
2 세번째기둥 -> 두번째기둥
1 첫번째기둥 -> 두번째기둥
4 첫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1 두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2 두번째기둥 -> 첫번째기둥
1 세번째기둥 -> 첫번째기둥
3 두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1 첫번째기둥 -> 두번째기둥
2 첫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1 두번째기둥 -> 세번째기둥

3.3.5. 알고리즘 분석

  • n = 1 일 때, 1
  • n = 2 일 때, 3
  • n = 3 일 때, 7
  • n = 4 일 때, 15
  • n 일 때, $2^n - 1$, 즉 시간 복잡도는 O($2^n$)
도전 과제
연습 과제는 그냥 과제와 달리, 난이도가 매우 높을 때도 있습니다. 한번에 못푸는 것이 당연한 문제!, 여러번 풀이보고, 다시 스스로 풀어보면서 연습하는 문제임
문제: 정수 4를 1, 2, 3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총 7가지가 있음
1+1+1+1
1+1+2
1+2+1
2+1+1
2+2
1+3
3+1
정수 n이 입력으로 주어졌을 때, n을 1, 2, 3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하시오
힌트: 정수 n을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리턴하는 함수를 f(n) 이라고 하면,
f(n)은 f(n-1) + f(n-2) + f(n-3) 과 동일하다는 패턴 찾기
출처: ACM-ICPC > Regionals > Asia > Korea > Asia Regional - Taejon 2001
In [104]:
def f(data):
    if data < 0:
        return 0
    if data == 0:
        return 1
    elif data == 1:
        return 1
    elif data == 2:
        return 2
    elif data == 3:
        return 4
    
    return f(data - 1) + f(data - 2) + f(data - 3)

In [94]:
def is_palindrome(string):
    if len(string) < 2:
        return True
    if string[0] != string[-1]:
        return False
    return is_palindrome(string[1:-1])